피노누아 (Pinot Noir) • 야라밸리, 모닝턴반도, 태즈매니아 • M-H acid / M alc / M body / 붉은과실
그르나슈 (Grenache) • 프티베르도, 무드베르드 등의 만생종은 무더운 지역에서 잘 자람
<포도 및 와인양조 : 청포도 품종> 샤르도네 (Chardonnay) • 청포도 품종 중 가장 많이 재배됨 • 저렴한 대량생산 와인 : 복숭아풍미의 순수한 스타일 vs 가짜오크 첨가 • 프리미엄 와인 : 서늘 or 온화 - 애들레이드힐즈, 모닝턴반도, 야라벨리 / 따뜻 - 마가렛 리버 • 앙금, 젖산전환, 오크사용등으로 미묘한 풍미 발현
소비뇽블랑 (Sauvignon Blanc) • 애들레이드 힐즈가 유명
세미용 (Semillon) • 헌터밸리가 유명 • 조기수확하여 산도가 높고 중립적인 풍미 -> 병숙성을 통해 꿀과 토스트 풍미를 드러낸다 • Western Australia에서는 허브향이 훨씬 강한 스타일
리슬링 (Riesling) • 감귤류, 과일 아로마 -> 급격한 숙성향 발현(토스트, 꿀, 휘발유) • 에덴벨리, 클래어밸리 • 타즈매니아, Great Southern
<와인산지 : South Eastern Australia Zone> • 초대형 와인산지 • 남호주, 빅토리아, 뉴사우스웨일즈, 퀸즈랜드 모두 포함 • 대부분 대량생산 저가와인 : 리버랜드, 머레이달링, 리베리나 • 리베리나 : 세미용 기반의 귀부와인, 안개가 많음
<South Australia> 바로사밸리 (Barossa Valley) • 애들레이드 북쪽에 위치, 고급와인 생산의 중심지 •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 지역 • Old vine : CS, S, Gr / White : Semillon • Barossa Valley -> Region / Barossa -> Zone
에덴벨리 (Eden Valley) • 바로사 밸리 동쪽의 구릉지대, 고도에 따라서 서늘하거나 온화 • Riesling
클래어밸리 (Clare Valley) • 바로사밸리 북서쪽 • 따뜻한 기후이나 밤은 춥다 • Riesling : 시트러스, 라임 -> 꿀, 토스트 / Dry, H acid • S & CS
애들레이드 힐스 (Adelaide Hills) • 온화한 기후, 400m 고도 • ChD, SB, PN, 스틸 & 스파클링
맥라렌 베일 (McLaren Vale) • 남부론과 유사함 • 애들레이드 남쪽 해안에 위치, 해안 바람이 냉각효과 • Old vine : S, G, CS, M
쿠나와라 (Coonawarra) • 좁고 긴 부지, 붉은 색 토양 (Terra rossa) • 온화한 해양성 기후 : 남극 한류의 영향으로 • CS : 카시스, 유칼립투스, 박하
<Victoria> • 가장 서늘한 지역 • ChD, PN, S, CS
야라밸리 (Yarra Valley) • 맬버른 북동쪽에 위치, 서늘하거나 온화한 해양성 기후 • 피노누아와 스파클링 와인으로 유명함 • 고도와 방향에 따른 기후가 다양 : ChD, S, CS
모닝턴 반도 (Mornington Peninsula) • 멜버른 남쪽에 위치. PN, ChD로 유명 • 서늘하거나 온화한 해양성 기후
절롱 (Geelong) • 멜버른 서쪽에 위치, 모닝턴 반도와 비슷한 기후 (서늘하거나 온화한 해양성 기후) • 고품질 샤르도네로 유명
히스코트 (Heathcote) • 빅토리아 중심에 위치 • 야라밸리보다 더 깊은 내륙에 위치 • 해양의 영향보다는 고도에 의한 냉각효과가 크다 • 온화한 기후 : S, ChD, CS
골번밸리 (Goulburn Valley) • 히스코트 동쪽에 위치, 골번강과 호수의 냉각효과 • S & 마르산
<New South Wales> 헌터밸리 (Hunter Valley) • 무더운 고온 다습한 기후 지역, 운량에 의한 냉각효과 • Semillon : 중립적이고 산도가 높고 낮은 바디감 -> 토스트, 꿀 풍미 • ChD
<Western Australia> 마가렛리버 (Margaret River) • 따뜻한 지중해성 기후 • CS : 보르도 스타일 블랜드 • ChD : 농축된 핵과 및 열대과일 풍미, 발효 후 처리 적극적 • SB + Sm : 산도가 높고 열대과일 아로마, 구즈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