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네비올로
- 샤도네이
- 와인
- Sauvignon Blanc
- Riesling
- Chardonnay
- Pinot Noir
- Nebbiolo
- Wine study
- 와인공부
- wine tasting
- Sangiovese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산지오베제
- Chenin Blanc
- 샤르도네
- WSET level 3
- 와인테이스팅
- champagne
- 와인 시음
- 리슬링
- 와인시음
- wine
- 샴페인
- 피노누아
- 블라인드 테이스팅
- WSET
- winetasting
- RVF
- Today
- Total
Wines & Bones : 소비치의 와인 그리고 정형외과 안내서
[Wine Tasting] Champagne Marie Courtin 'Concordance' Pinot Noir Extra Brut 2016 - 샴페인 마리 꾹땅 '콩코흐당스' 피노 누아 엑스트라 브륏 2016 본문
[Wine Tasting] Champagne Marie Courtin 'Concordance' Pinot Noir Extra Brut 2016 - 샴페인 마리 꾹땅 '콩코흐당스' 피노 누아 엑스트라 브륏 2016
소비치 2025. 1. 18. 12:26Champagne Marie Courtin 'Concordance' Pinot Noir Extra Brut 2016
샴페인 마리 꾹땅 '콩코흐당스' 피노 누아 엑스트라 브륏 2016
[Specification]
지역 : France / Champagne / Cote des Bar
품종 : 100% Pinot Noir
알콜 : 12%
빈티지 : WS 92DH, RP 94T, WSG 3.5DC / 2016년 Champagne는 서리, 우박, 진균병, 폭염으로 수확량에 엄청난 손실을 입었지만, 수확에 성공한 포도들은 균형 잡히고 표현력이 좋은 와인으로 만들어졌다. 샤르도네보다는 피노누아가 더 좋은 모습을 보였
재배 & 양조 : 포도는 유전적 다양성을 위해 Massal Selec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와인은 황을 첨가하지 않고 천연효모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하였다. 이후 3년 동안 병숙성하였으며 도사주는 시행하지 않고 완성하였다.
평균가 : $86
내 점수 : 93pts
재구매 의사 : 6/10
[Story & Tasting]
"시골에서 짠 사과즙"
Champagne Marie Courtin은 Côte des Bars의 Polisot 마을에 위치해 있다. Dominique Moreau는 2005년에 이 와이너리를 설립하였으며, 비오디나믹 농법을 이용하여 단일 포도밭, 단일 품종, 단일 빈티지 샴페인을 만들고 있다. 그는 포도밭의 생태계에서 오는 영향력을 표현하기 위해 Massal Selection 방법을 이용한다. 포도나무는 대부분 40-45년 수령의 피노누아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향-남동향을 띄고 있다. 수확 시 모두 손수확을 하며, 자연효모를 이용하여 발효하고, 도사쥬는 하지 않는다. Resonance와 Efflorescence로 대부분 생산되고, 각각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하고 24개월 병숙성하고, 바리크에서 발효 및 숙성된 뒤 36개월간 병숙성 한다. 이 외에도 Concordance (Zero Sulfur BdN), Eloquence (Barrel aged Chardonnay), Presence (Chardonnay & Pinot Blanc)과 로제 샴페인인 Indulgence와 Allegeance (Zero Sulfur)를 소량 생산하고 있다.
와인은 중간 황금색으로 진한 발색과 컬러감을 보였다. 기포는 섬세하고 지속적으로 올라왔다. 노즈에서는 강한 발향으로 처음부터 직관적이고 표현력 좋게 다가왔으며, 멍든 사과와 비스킷 같은 효모풍미가 정말 진하고 거기에 더해 약간의 식초, 딸기즙, 레몬제스트에 꿀, 구운 아몬드등의 풍미가 가미되어 있었다. 팔렛에서는 정말 풍성하고 부드러우면서도 높은 산도가 신선함을 불어넣어 주는 모양새로 피니쉬도 중상의 길이로 넉넉하게 이어졌다.
마치 시골에서 짜준 사과즙 같은 인상의 샴페인이었다. 단박에 진한 멍든 사과와 고소한 효모풍미의 조화는 다른 노트를 캐치하기도 전에 사람을 푹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었다. 빈티지에 비해서 숙성이 좀 된듯한 느낌을 오히려 주기에 숙성을 굳이 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개성이 너무 강하고, 이 자체로도 밸런스가 좋기 때문에 음식과 페어링을 해보는 것보다는 와인 자체를 즐겨보는 것도 좋겠다.
M Gold
P aroma
Bruised apple, Biscuit, hint of VA, crushed strawberry, lemon zest, honey, toasted almond
M+ flavor
Dry / H acid - refreshing / M- alc / M+ body / M+ f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