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와인시음
- winetasting
- 산지오베제
- 와인
- RVF
- 오블완
- champagne
- Chardonnay
- 블라인드 테이스팅
- wine tasting
- Wine study
- 와인 시음
- Nebbiolo
- 샴페인
- 피노누아
- 네비올로
- WSET level 3
- Sangiovese
- Pinot Noir
- WSET
- 샤르도네
- Riesling
- Chenin Blanc
- Sauvignon Blanc
- 리슬링
- wine
- 티스토리챌린지
- 와인테이스팅
- 샤도네이
- 와인공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59)
Wines & Bones : 소비치의 와인 그리고 정형외과 안내서

포도 구성요소 • 씨&줄기 : 탄닌을 함유, 씨에는 쓴맛, 줄기사용시 손수확해야함 • 껍질 : 껍질에 풍미가 농축 / 탄닌과 색 • 과육 : 수분 & 당분 & 산 • 과분 : 껍질을 둘러싼 밀랍, 효모포함 산소 산소와 양조 - Anaerobic winemaking • 1차적인 과실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 • 이산화황 사용, 산소접촉 최소화 • 밤시간대 수확 (온도가 낮은 시간) • 포도가 낮은 온도를 유지 • 주스를 밀폐용기에 이산화탄소나 질소를 사용하여 보관 • 하지만 단조로울 수 있음 산소와 숙성 • 무산소 방식 -> 비활성 밀폐 탱크 사용 • 유산소 방식 -> 오크로 제작된 나무용기 사용. 산소가 작용해서 탄닌을 부드럽게 하고 풍미가 발달 • 산소접촉 -> 1차향 감소, 3차향 발달 / 와인 ..

환경 : 경작지의 기온, 강우량, 토양 -> 포도품종, 재배방법 선택 사업성 : 기반시설, 인력, 기계접근성, 땅값 고려 포도품종 : 환경적 요인도 고려해야 하나, 법적 품종 규제도 고려 대상 포도나무는 30-50년 주기로 교체한다 Old vine : 높은 포도 풍미, 낮은 생산성, 높은 질병취약성 (수익과 품질사이에서 균형) 다시 심을때는 토양 회복을 위해 3년 이상 식재를 하지 않는다 주요 테크닉 : 트레이닝, 가지치기(Pruning), 격자구조물(Trellising), 식재밀도(Density of the planting) 포도나무 트레이닝 (Vine Training) 포도나무의 영구적인 나무 부분 모양 낮은 트레이닝 : 토양의 복사열을 활용 / 높은 트레이닝 : 서리 예방 정수리 트레이닝 (Head..

Domaine Gilbert et Christine Felettig Bourgogne Pinot Noir 2017 도멘 길버트 에 크리스틴 펠레틱 브루고뉴 피노누아 2017 [Specification] 지역 : France / Bourgogne AOC 품종 : 100% Pinot noir 알콜 : 13% 내 점수 : 88 pts [Tasting note] "맛있는 Regional Bourgogne. 하지만 이 가격대엔 신대륙으로 가겠다" Regional Bourgogne는 항상 혹시? 라는 기대에 사면서, 역시라는 적당한 만족감을 얻는다. 차분하면서도 분명한 과실미에 여러 이불을 덮은 듯한 복합미까지 육각형 stat을 갖췄지만, 결국 뭐하나 뛰어난 부분은 없다. 이 가격대에 Sonoma나 Santa-Ba..

Château du Cray Le Cornevent Monopole, Bourgogne Pinot Noir 2018 샤또 두 크레이 레 코흐네방 모노폴, 브루고뉴 피노누아 2018 [Specification] 지역 : France / Bourgogne AOC 품종 : 100% Pinot noir 알콜 : 13% 내 점수 : 86 pts [Tasting note] "가성비의 균형잡힌 기본급 브루고뉴" 말라가는 듯한 붉은 과실의 섬세함, 약간의 우디함, 버섯이나 흙 내음의 균형이 잘 잡힌 시음적기의 브루고뉴 루즈. 2.2만원의 구입가격을 고려한다면 정말 만족하나, 예산을 4만원대까지 올린다면 더 좋은 Regional 급의 와인들이 많다. 그럼에도 입에서 밸런스가 잘 맞아 편하고 신선하게 넘어가기 때문에 음식..

열, 햇볕, 이산화탄소, 물, 양분 포도나무는 10℃ 이하에서는 생장을 하지 못한다 생장시기에 열의 총량에 따라 어떤 포도품종을 식재할지가 정해진다 ex) Cool climate : Riesling / Warm climate : Grenache 열에 영향을 주는 요소 위도 : 대부분 30-50° 사이 고도 : 고도가 높아지며 온도가 낮아진다 • (Cafayate(ARG) - 적도 근처 but 고도가 높아 포도식재 가능) 해류 : 난류 & 한류가 와인 산지 온도에 영향 • 한류 : Humboldt - 칠레 / Benguela - 남아프리카 • 난류 : Gulf Stream - 북서부 유럽 안개 : 냉각효과 • California, Chile - Casablanca Valley 토양 : • 바위/돌 - 복사..

Vitis Vinifera : 유럽품종으로 와인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American Vines : 와인생산에 거의 사용되지는 않지만 Phylloxera에 저항성이 있어 Vitis Vinifera의 접목용으로 주로 기른다. 포도 재배자는 포도 품종의 맛과 품질 뿐만 아니라, budding과 ripening 시점 그리고 Phylloxera 저항성 까지 고려해야 한다. 포도나무를 번식시키는 방법으로는 Seeding, Cutting, Layering이 있으며 Seeding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Layering또한 Phylloxera의 위험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 꺽꽂이 (Cutting) : Vine shoot을 잘라서 새롭게 심는다. (전문 묘목장) 겹치기 (Layering) : Cane을 구부려서 땅..

• 서늘한 온도 (10-15도) & 일정한 온도에서 보관 • 눕혀서 와인과 코르크가 접촉하도록 보관 • 햇빛이나 강한 인공광을 피해서 보관 • 진동을 피해서 보관 서비스 온도 • 레드와인이 차가우면 가늘고 거칠게 느껴진다. 반면 온도가 높으면 향과 신선함을 잃는다 • 아이스 버킷은 화이트, 로제, 스파클링을 chilling 할 수 있다. 3/4을 동량의 물과 얼음으로 채운다 와인 스타일별 서비스 온도 • M-F body oaked white : Lightly chilled (10-13도) / Bourgogne Blanc, Fume Blanc • L-M white : Chilled (7-10도) / Muscadet, Pinot Grigio, New Zealand S/B, Fino Sherry • Sweet..

1. 단맛, 감칠맛 : "단단하게" • 강화 : 떫은맛, 쓴맛, 신맛, 알코올 • 약화 : 단맛, 과일맛, 바디감 2. 염분, 산 : "부드럽게" • 강화 : 단맛, 과일맛, 바디감 • 약화 : 떫은맛, 쓴맛, 신맛 단맛 음식 • 강화 : 떫은맛, 쓴맛, 신맛, 알코올 • 약화 : 단맛, 과일맛, 바디감 • 단맛 음식은 단맛이 더 강한 와인과 매칭한다. 감칠맛 음식 • 강화 : 떫은맛, 쓴맛, 신맛, 알코올 • 약화 : 단맛, 과일맛, 바디감 • 감칠맛↑, 짠맛↓: 와인과 매칭하기 어렵다 ex) 아스파라거스, 달걀, 버섯, 연성치즈 • 감칠맛↑, 짠맛↑: 와인과 매칭하기 쉽다 ex) 염장 or 훈제 해산물, 육류, 경성치즈 • H tannin wine : 감칠맛의 쓴맛 강화에 영향을 잘 받지 않음 • L..

이전글 : 2023.01.07 - [Wine & More/Wine 101] - [Wine 101] 와인을 시음하는 법 - 2. 코로 즐기기 : 향이 주는 즐거움 입으로 즐기는 법 와인을 보는 법, 코로 즐기는 법을 모두 익혔다면, 드디어 맛을 보는 방법 차례입니다. 와인 애호가들이 입에 와인을 넣고 가글을 하듯 여기저기 굴리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는 혀와 입 여기저기에 와인이 효율적으로 닿아 와인의 맛을 온전히 느끼고 또한 공기와 접촉시켜 입속에서 풍미를 증폭시키기 위함입니다. 또한 입에서 굴리는 동안 체온으로 인해 와인의 온도가 오르면서 코에서 느끼지 못했던 풍미의 발산력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혼자 와인을 마시거나 시음회에 참석했을 때 위와 같은 와인굴리기는 일반적이지만, 타인과 식사자리에..

이전글 : 2023.01.07 - [Wine & More/Wine 101] - [Wine 101] 와인을 시음하는 법 - 1. 눈으로 즐기기 : 빛깔이 주는 즐거움 스월링 (Swirling) 눈으로 와인을 즐긴 다음 순서는 향으로 와인을 즐기는 것입니다. 하지만 향을 즐기기 전에 향을 좀 더 풍부하게 느끼기 위해 가볍게 흔들어줍니다. 이를 스월링(Swirling)이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스월링을 자연스럽게 하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와인이 아름답게 잔 벽을 훑고 가지 못한다던가, 하다가 와인을 흘리는 경험을 해봤을 것입니다. 이는 약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자주 쓰는 와인잔에 물을 넣고 천천히 한 방향으로 원을 그려가면서 돌려봅니다. 처음부터 와인으로 연습하다 보면 아까운 술을 쏟게 될 뿐만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