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샤르도네
- champagne
- Chenin Blanc
- 와인공부
- 산지오베제
- 리슬링
- 오블완
- 샴페인
- 와인
- 네비올로
- Pinot Noir
- WSET level 3
- wine tasting
- 와인시음
- RVF
- 블라인드 테이스팅
- Wine study
- Chardonnay
- 피노누아
- Riesling
- winetasting
- wine
- WSET
- 와인 시음
- Sauvignon Blanc
- Sangiovese
- Nebbiolo
- 샤도네이
- 티스토리챌린지
- 와인테이스팅
Archives
- Today
- Total
Wines & Bones : 소비치의 와인 그리고 정형외과 안내서
[Rothman 7th ed] S4 PEDIATRICS - 27. Idiopathic Scoliosis 본문
반응형
🟩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 Idiopathic scoliosis는 전체 소아 척추 측만증의 약 8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로, 명확한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진단됨.
- 필수 진단 기준은 Cobb angle ≥ 10°, 10도 미만은 spinal asymmetry로 분류.
- 유사 질환인 congenital, syndromic, neuromuscular scoliosis, leg-length discrepancy는 반드시 배제되어야 함.
- 분류는 발병 연령에 따라 4가지:
- Infantile: 출생 ~ 2세 11개월
- Juvenile: 3세 ~ 9세 11개월
- Adolescent (AIS): 10세 ~ 17세 11개월
- Adult: 18세 이상
🟩 Epidemiology
- AIS는 가장 흔한 유형이며, 10° 이상 측만은 전체 청소년 중 약 2~3%, 이 중 30도 이상 진행하는 경우는 약 5%, 40도 이상은 0.1% 수준.
- 여아에서 더 흔하며, 진행성 곡선(수술 대상)에서는 여:남 비율이 9:1까지 증가.
- Infantile type은 미국에선 드물고, 주로 유럽 남아에서 좌측 흉추 곡선으로 발생.
- Juvenile type은 약 10–20%를 차지하며, 대부분 여아에서 진단됨. Curve pattern은 AIS와 유사.
🟩 Etiology and Pathogenesis
- 원인은 **다인성(multifactorial)**으로 여겨짐. 대표적 가설:
- Intrauterine molding 또는 supine positioning에 의한 압박
- Proprioception 이상, Central pattern generator 손상
- Connective tissue disorder, 호르몬 불균형 (melatonin 등)
- 체간 불균형, 체중지지 역학 변화
- 유전적 소인도 있음:
- CHD7, CHD2, **LBX1 유전자 다형성(rs11190870)**이 AIS와 연관됨
- AIS는 **직립 자세(erect posture)**를 유지하는 인간만의 특징적인 생체역학에 따라 발생 가능성 높음
🟩 Natural History
- 대부분의 경증(10–20도) 곡선은 진행하지 않음
- 진행 예측 인자:
- Cobb angle ≥ 25도
- 성장 잔여량이 많을수록 진행 위험 높음 (Risser 0–1, menarche 이전)
- 여아, 흉요추 위치, 이중 곡선
- Weinstein 등의 장기 추적 연구에 따르면 치료받지 않은 40–50도 곡선도 대부분 통증이나 기능 저하 없이 생활 가능
🟩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 History
-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청소년기 요통은 약 1/3에서 보고됨
- 가족력, menarche 시기, 성장 속도, 비정상적인 걸음걸이 평가 필요
🔹 Physical Exam
- Adams forward bend test: 흉부 prominence 확인
- Plumb line, shoulder/pelvic level, rib hump 관찰
- 신경학적 검사 필수: 특히 좌측 흉추 곡선, 어린 나이, 증상 있는 경우
🔹 Imaging
- Standing PA & lateral X-ray로 Cobb angle, vertebral rotation 확인
- Risser sign, triradiate cartilage로 skeletal maturity 평가
- MRI 적응증:
- 좌측 흉추 곡선
- 연령 <10세
- 신경학적 이상 동반 시
- 빠른 진행 곡선
🟩 Nonoperative Management
🔹 Observation
- Cobb <25도, 성장이 끝나지 않은 환자에서는 관찰
- 성장기 동안 4–6개월 간격으로 추적 촬영
🔹 Bracing
- 적응증: 25–40도 곡선 + Risser 0–2 + 성장기
- 목표: 수술 회피, 진행 예방
- 종류:
- Boston brace: 낮 시간대 착용
- Charleston bending brace: 야간 착용
- Milwaukee brace: 고위 흉추 곡선
- 효과: Nachemson 연구에서 brace 착용 시 수술률 50% 이상 감소 확인
- 단점: 폐활량 감소, 심리적 거부감
🟩 Surgical Management
🔹 Indications
- 성장기: >45~50도
- 성인: >50도 + 진행성 증상 또는 통증
- 목표:
- 변형 교정
- 장기적 균형 유지
- 척추 유합 최소화
🔹 Surgical Techniques
- Posterior Spinal Fusion
- 현재 표준 수술법
- Segment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이용
- Lenke classification에 따라 fusion 범위 결정
- Anterior Spinal Fusion
- 선택적 thoracolumbar curve (Lenke 5C)에서 사용
- 최근 posterior 접근이 우세
- Minimally Invasive Surgery (VATS)
- 심미적 우수성, 폐기능 보존 장점
- 기술 숙련 필요, 적응증 제한
🟩 Lenke Classification Overview
- AIS 수술의 gold standard 분류 체계
- Curve type (1~6) + Lumbar modifier (A/B/C) + Sagittal modifier (-/N/+)로 구성
- Selective thoracic fusion 여부 판단에 사용
- LIV (Lowest Instrumented Vertebra), LEV (Lower End Vertebra) 선택이 결과에 영향
🟩 Postoperative Outcomes and Considerations
- 교정률: 평균 60–70%
- 합병증:
- Pseudarthrosis, implant failure
- Coronal/sagittal decompensation
- Reoperation: LIV 선택 오류, 교정 과소/과교정
- 심폐기능: posterior > anterior surgery에서 보존
- 재활: 대개 6–12주 내 활동 복귀, brace 필요 X
🟩 Future Directions and Advanced Techniques
- Vertebral body tethering (VBT): 성장기 환자 대상 fusionless dynamic correction
- 3D navigation & intraoperative monitoring (MEP, SSEP): 수술 정확도 및 신경 보호 향상
- Direct vertebral rotation (DVR): 흉추 회전 변형 교정에 효과적
🟩 Key Clinical Pearls
- Cobb ≥10° + radiographic 특징으로 진단
- 좌측 흉추 측만, 10세 미만, 신경학적 증상은 MRI 적응증
- Brace는 성장기 곡선 진행 억제에 효과적
- 수술 적응 기준은 45~50도 이상, 또는 진행하는 curve
- Lenke classification은 수술 전략 결정에 핵심
- LIV 선택은 교정 유지를 위한 중요 요소
- Postop complication 대비 위해 정밀한 plan 및 모니터링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