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와인공부
- Sauvignon Blanc
- RVF
- 와인시음
- Wine study
- Riesling
- winetasting
- 와인
- 샴페인
- 샤르도네
- 티스토리챌린지
- 산지오베제
- Chenin Blanc
- wine tasting
- champagne
- 네비올로
- 피노누아
- 와인 시음
- WSET level 3
- Pinot Noir
- 샤도네이
- Sangiovese
- 리슬링
- Nebbiolo
- Chardonnay
- WSET
- 블라인드 테이스팅
- wine
- 와인테이스팅
- 오블완
Archives
- Today
- Total
Wines & Bones : 소비치의 와인 그리고 정형외과 안내서
[Rothman 7th ed] S5 CERVICAL DEGENERATIVE DISORDERS - 38. Medical Myelopathies 본문
Health/의학 교과서 정리
[Rothman 7th ed] S5 CERVICAL DEGENERATIVE DISORDERS - 38. Medical Myelopathies
소비치 2025. 4. 24. 21:46반응형
🟩 Overview
Medical myelopathies는 **비외과적 원인(non-compressive causes)**에 의해 발생하는 **척수병증(myelopathy)**을 의미한다. 외과적 탈출 디스크, 골극, 후종인대 골화(OPLL) 등 구조적 요인과 달리, 이 장에서는 염증성, 감염성, 혈관성, 대사성, 독성, 종양성 원인 등 내과적 질환에 기인한 척수병증에 집중한다.
🔹 Importance in Differential Diagnosis
- 내과적 척수병증은 척수 압박이 없는 상태에서 진행되며, 종종 영상에서 구조적 이상이 부재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 진단 지연 시 예후가 나빠지므로, 조기 진단 및 원인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 Inflammatory and Autoimmune Myelopathies
🔹 Multiple Sclerosis (MS)
병태생리
- CNS의 탈수초성 질환으로, 면역매개 염증에 의해 발생
- white matter lesion이 주로 발생하며, oligodendrocyte 손상이 핵심
- Spinal cord involvement은 약 90%의 환자에서 존재
임상
- 간헐적 증상 발현과 회복이 반복되는 relapsing-remitting pattern
- 상지/하지 감각이상, 근력약화, 배뇨장애, Lhermitte sign
- Visual disturbance, optic neuritis,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동반 가능
진단
- MRI: cord 및 뇌의 multifocal T2 hyperintense lesions
- CSF: oligoclonal bands, elevated IgG index
- McDonald criteria 사용
치료
- 급성기: high-dose IV steroids
- 유지요법: interferon beta, glatiramer acetate, natalizumab 등
🔹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s (NMOSD)
병태생리
- AQP4-IgG (aquaporin-4 antibody) 관련 자가면역 질환
- Longitudinally extensive transverse myelitis (LETM): 3개 이상의 vertebral segments를 침범
임상
- 척수염: 하지 마비, 감각소실, 배뇨장애
- 시신경염: 양측 또는 반복성
- 뇌간 증상 가능
진단
- Serum AQP4-IgG 양성 시 진단
- MRI: T2 hyperintensity extending ≥3 segments
치료
- 급성기: 고용량 스테로이드 + plasmapheresis
- 예방: rituximab, eculizumab, mycophenolate mofetil
🔹 Acute Transverse Myelitis (ATM)
- 원인: post-infectious, autoimmune, idiopathic
- 증상: 양측 하지 마비, 감각소실, 요실금 등 신속한 진행
- MRI: focal or longitudinal lesion (non-compressive)
- 치료: 고용량 IV methylprednisolone → 반응 없으면 plasma exchange
🟩 Infectious Myelopathies
🔹 Viral Myelitis
- 원인: HSV, VZV, CMV, HTLV-1, West Nile Virus
- 특징: 급성 또는 아급성 경과, 발열, 근력저하, 감각저하, 방광장애
- MRI: T2 hyperintensity ± enhancement
- PCR-based viral detection, CSF analysis 필요
- 치료: 항바이러스제 ± 면역억제
🔹 Human T-cell Leukemia Virus type 1 (HTLV-1)
- **Tropical spastic paraparesis (TSP)**와 관련
- 하반신 근력저하, 경직, 방광기능장애
- 치료는 대증적 (항바이러스 약물 효과 제한적)
🟩 Vascular Myelopathies
🔹 Spinal Cord Infarction
병태생리
- Anterior spinal artery syndrome 가장 흔함
- 병변은 주로 thoracic cord에서 발생
- 원인: aortic dissection, thrombosis, hypotension, embolism
임상
- 급성 발병, paraplegia, 감각 소실 (vibration, proprioception 보존)
- 배뇨/배변 장애
진단
- MRI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acute ischemia 확인
- CSF: 정상 또는 단백질 상승
- 치료는 supportive + 원인 교정 (e.g., anticoagulation)
🟩 Neoplastic and Paraneoplastic Myelopathies
🔹 Intramedullary Spinal Cord Tumors
- 종류: ependymoma, astrocytoma, hemangioblastoma
- 서서히 진행하는 myelopathy, 통증, 감각이상
- MRI with contrast 필수
- 치료: 수술 ± 방사선
🔹 Paraneoplastic Syndromes
- Anti-Hu, Anti-Ri, Anti-CRMP5 등 항체 관련
- 병태생리: 종양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CNS를 침범
- 암 종류: small cell lung carcinoma, breast cancer 등
- 치료: 원발암 치료 + 면역억제 (IVIG, steroids, rituximab)
🟩 Metabolic, Toxic, and Nutritional Myelopathies
🔹 Vitamin B12 Deficiency (Subacute Combined Degeneration)
- Dorsal column + corticospinal tract 침범
- 증상: 감각소실, 진동감각 저하, 하지 경직
- MRI: posterior cord T2 hyperintensity
- 치료: B12 보충 (IM injection)
🔹 Copper Deficiency Myelopathy
- 유사한 임상양상 (B12와 감별 필요)
- 원인: 과도한 아연 섭취, 위절제술 후
- 진단: 혈중 copper, ceruloplasmin
- 치료: copper 보충
🔹 Radiation Myelopathy
- 방사선 후 수개월~수년 내 발생 가능
- 증상: 서서히 진행되는 weakness, 감각 소실
- 치료 어려움, 예방이 핵심
🟩 Summary of Diagnostic Approach
- History
- 급성 vs 아급성 vs 만성
- 동반 질환 (autoimmune, cancer, vascular risk 등)
- Neurologic Exam
- LMN vs UMN 패턴
- 감각, 운동, 배뇨 기능 평가
- Imaging
- MRI: cord lesion 평가
- T2 hyperintensity, contrast enhancement 여부
- CSF Analysis
- 세포수, 단백, oligoclonal bands, AQP4-IgG
- Serologic Test
- ANA, ENA, HIV, HTLV-1, B12, copper, paraneoplastic panel
🟩 Clinical Pearls
- 비압박성 척수병증은 영상에서 구조적 병변이 없을 수 있음
- MRI에서 LETM이 보이면 항상 NMOSD를 의심
- 감염, 종양, 대사 질환은 모두 서서히 진행되는 하반신 마비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조기 진단과 면역조절 치료는 예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