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WSET level 3
- champagne
- 네비올로
- 산지오베제
- 와인
- 와인 시음
- 와인공부
- 샤르도네
- Pinot Noir
- Chenin Blanc
- Nebbiolo
- Sangiovese
- 와인시음
- RVF
- wine tasting
- 리슬링
- Chardonnay
- Wine study
- WSET
- Sauvignon Blanc
- 오블완
- 와인테이스팅
- wine
- 블라인드 테이스팅
- 샴페인
- 티스토리챌린지
- winetasting
- 피노누아
- 샤도네이
- Riesling
- Today
- Total
목록리슬링 (48)
Wines & Bones : 소비치의 와인 그리고 정형외과 안내서

서늘한 대륙성기후 서쪽으로는 알프스 산맥이 있어 생산지가 동쪽에 치우쳐있음 no PGI Tafelwein : 두곳 이상의 지역에서 수확 PGI Landwein : 하나의 지역에서 수확 PDO Qualitatswein : 하나의 구역에서 수확한 포도로 만든 와인. Neiderosterreich, Bugenland, Steiermark, Wien. 품종과 스타일 제한 없음 • Qualitatswein from a generic region : Neiderosterreich, Bugenland, Steiermark, Wien • Qualitatswein from a specified region : DAC • Qualitatswein from a specified region (Non DAC) : Pradik..

• 서늘한 대륙성 기후 : 익는동안 산도를 유지해줌 • 포도밭의 입지 차이가 와인 품질에 큰 영향 : 남향, 가파른, 돌이 있는 경사면 / 강 근처 (반사된 햇빛) • 대부분 손수확을 함 -> 수확기가 길다 • 품질평가 : Must weight (포도의 당도) -> 한개의 밭에서 여러종류의 품질이 나올 수 있음 수확시 최소 must weight로 구분됨 Qualitatswein (Dry to M sweet) Pradikatswein • Kabinett (Dry to M sweet) : L body, H acid, 청사과 & 시트러스 풍미, 발효중단을 통해 잔당감 남기기도 함 • Spatlese : Kabinett과 비슷하나 더 농축된 풍미와 익은 과실풍미, 바디감, 알콜, 당도가 Kabinett보다 약간..

• 서늘-온화한 대륙성 기후 : Vosge 산맥이 서풍과 비바람을 막아줌 • 일조량이 높고 건조한 가을날씨 : 포도의 당도가 높음 • 고품질 밭 : 남향, 남동향의 가파른 경사에 위치 (낮게 트레이닝 : 햇볕, 토양의 열기) • 저품질 밭 : Vosge 산맥과 Rhine강 사이의 평탄한 지대에 위치 -> Cremant d'Alsace에 활용되는 포도 재배 (높게 트레이닝 : 서리방지) • 포도밭의 토양 조성이 다양함 : 모자이크 형식 -> 수확도 오래걸림 (Sparkling은 일찍 수확 / VT, SGN는 상대적으로 늦게 수확) • Alsace : 포도품종 표기 • Alsace Grand Cru : Noble Variety (Pinot Gris / Gewurztraminer / Riesling / Mus..

Schloss Johannisberg Rotlack Riesling Kabinett 2021 슐로스 요하니스베르그 로트락 리슬링 카비넷 2021 [Specification] 지역 : Germany / Rheingau 품종 : 100% Riesling 알콜 : 11.5% 양조 : The grapes are hand harvested and softly crushed. The must ferments in temperature controlled stainless steel tanks, a small quantity (20%) in wooden barrels. After fermentation, the wine settles on the lees for five months. 내 점수 : 90 pts [Ta..

Markus Molitor Wehlener Ortswein Riesling (Grüne Kapsel) 2020 마르쿠스 몰리터 벨레너 오르츠바인 리슬링 (그린 캡슐) 2020 [Specification] 지역 : Germany / Mosel / Bernkastel 품종 : 100% Riesling 알콜 : 11% 내 점수 : 88 pts [Tasting note] "부싯돌 향의 진수!" 흰 꽃향과 청사과, 배향 약간의 빵굽는 냄새와 함께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매콤한 느낌의 화약냄새 또는 부싯돌 냄새다. 와인 메이커는 모젤의 가파른 걍변에 퇴적된 점판암질의 토양의 테루아를 반영한다고 했으나... 글쎄올시다... 분명 황화합물의 결과물일텐데, 와인메이커들은 flinty함을 이끌어내기 위해 무슨 수를 쓰는걸까..

Schloss Johannisberg Gelblack Riesling Trocken 2021 슐로스 요하니스베르그 겔블락 리슬링 트로켄 2021 [Specification] 지역 : Germany / Rheingau 품종 : 100% Riesling 알콜 : 13% 양조 : The grapes are hand harvested and softly crushed. The must ferments in temperature controlled stainless steel tanks, a small quantity (10%) in wooden barrels. After fermentation, the wine settles on the lees for five months. 내 점수 : 90 pts [Tast..

Weingut Robert Weil Riesling Trocken 2021 바인굿 로버트 바일 리슬링 트로켄 2021 [Specification] 지역 : Germany / Rheingau 품종 : 100% Riesling 알콜 : 12.5% 내 점수 : 87 pts [Tasting note] "가볍게 마시고 싶을 땐!! 모나지 않은 기본급 리슬링" 하얀 꽃향과 레몬제스트, 배, 미네랄등이 생생하게 있다. 입에서는 상큼하게 산도가 살아있고 침을 자극해준다. 광어회랑 먹고싶은 와인이다. "All rounder entry level Riesling" White flower scent, lemon zest, pear, and minerals are vivid. In the mouth, the acidity i..

품종 특성 : H Acidity, Dry to Sweet, L to F body 주요 풍미 : 꽃, 완숙정도에 따라 • 초록 과일, 시트러스 : 사과, 배, 레몬, 라임 • 핵과류, 열대과일 : 복숭아, 살구, 망고, 파인애플 • 말린 과일 : 말린 살구, 건포도 주요 기후 : 서늘한 기후, 온화한 기후 양조 및 숙성방식 : 단일품종, 스테인리스 스틸(꽃향 보존), 숙성시 꿀, 휘발유 풍미 • 드라이 : 완전발효 • 오프드라이 - 중간드라이 : 효모제거방법 or 멸균포도즙(쉬스레제르베 Sussreserve 첨가) • 스위트 : 아이스바인 (보트리스와 관련 없다), 과숙포도 사용 리슬링은 특유의 꽃 향이 특징적인 품종으로 익을수록 당분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추위를 잘 견뎌 귀부 와인, 아이스 와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