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wine tasting
- Riesling
- 산지오베제
- wine
- WSET
- 와인테이스팅
- 티스토리챌린지
- 네비올로
- RVF
- 와인시음
- Chenin Blanc
- Wine study
- Sangiovese
- Sauvignon Blanc
- 블라인드 테이스팅
- 리슬링
- 샤도네이
- champagne
- Chardonnay
- winetasting
- Nebbiolo
- 와인 시음
- 오블완
- 샤르도네
- WSET level 3
- 와인
- 샴페인
- Pinot Noir
- 와인공부
- 피노누아
- Today
- Total
목록Wine & More (1030)
Wines & Bones : 소비치의 와인 그리고 정형외과 안내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IyHK/btrWg1aOWb6/U1Jcs4LpkrkZGxBdDUBVAk/img.png)
말벡 (Malbec) 말벡의 역사, 풍미, 맛, 주요 재배 지역에 관하여... 말벡의 역사 (The History of Malbec) 말벡은 프랑스 보르도에서 블랜딩에 이용되던 품종이지만, 현재는 프랑스 밖에서 더 유명한 품종이 되었다. 말백은 프랑스 보르도에서 블랜딩 품종으로 만들어지거나, 프랑스 까오(Cahor)에서 단일품종 와인으로 양조되었다. 그러나 품종 특성 상 질병과 곰팡이에 취약하였으며, 프랑스의 기후는 질병과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기후대들이 많았기 때문에, 보르도에서는 점차 사라져갔다. 19세기 중반 말벡은 아르헨티나에서 새 삶을 맞이하게 된다.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도밍고 파우스티노(Domingo Faustino)와 프랑스 농업연구자 미구엘 포제트(Miguel Pouget)의 노력으로 멘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4mkf/btrWc1IYkBq/ZUukBvVE6FFIykON1y7vfk/img.png)
피노누아 (Pinot Noir) 피노누아의 역사, 풍미, 맛, 주요 재배 지역에 관하여... 피노누아의 역사 (The History of Pinot Noir) 피노누아는 프랑스어로 '피노(Pinot) = 솔방울'과 '누아(Noir) = 검은'의 합성어로 포도송이가 솔방울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역사적으로는 피노누아가 가장 오래된 와인양조 품종 중 하나다. 고대 로마시대부터 즐기기 시작했으며 1세기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에서 기르기 시작했다는 문건도 있다. 이후 프랑크왕국의 교회를 중심으로 왕에게 하사 받은 토지를 이용하여 수도원 표 와인을 생산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게다가 수도원은 토지를 상속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대규모 포도 수확이 가능했으며, 십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WSCl/btrV2QhRP7z/anvDg4DXlx3Dn1sVRBAhr1/img.png)
메를로 (Merlot) 메를로의 역사, 풍미, 맛, 주요 재배 지역에 관하여... 메를로의 역사 (The History of Merlot) 메를로(Merlot)은 프랑스 보르도에서 1700년대 후반 지역 최고의 품종으로 불려져왔고, 1800년대 초반에는 잘익은 포도를 따먹는 것을 좋아하는 Merlau라는 지역 토박이 검정새의 이름을 따서 메를로(Merlot)이라고 명명되었다. 메를로는 19세기 스위스를 통해 이탈리아까지 퍼졌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유행하여 그 수요가 급증하였다. 신대륙에서 선호된 이유 중 하나는 품종이 발음하기 쉬울 뿐 아니라 부드럽고 과실향이 풍부한 특징을 지녔기 때문에 와인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편히 마시기 쉽기 때문이었다. 와인 애호가라면 한번쯤 봤을만한 영화 사이드웨이 (S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oZqj/btrVWxQhhJz/2heckwOuORN3yGLdnZdU5K/img.png)
카베르네 소비뇽 (Carbernet Sauvignon) 카베르네 소비뇽의 역사, 풍미, 맛, 주요 재배 지역에 관하여... 카베르네 소비뇽의 역사 (The History of Carbernet Sauvignon) 카베르네 소비뇽(Carbernet Sauvignon)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포도 품종으로 가장 많이 식재되는 와인 양조용 포도품종이기는 하나 그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17세기경 남서부 프랑스에서 우연히 카베르네 프랑(Carbernet Franc)과 소비뇽블랑(Sauvignon Blanc)의 교배결과로 탄생하였다. 보르도(Bordeaux)에서 주로 이용되는 품종으로 두꺼운 껍질을 갖고 있어 병충해나 우박이나 서리등의 악천후에도 잘 견디는 성질을 갖고 있어 재배가 쉬운 품종이다. 이런 이유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UYq1/btrV4ukiIIP/vmEbx26jiWKWU9TkeHreF1/img.png)
보르도 레드 블랜드 (Bordeaux Red Blend) 보르도의 역사, 보르도 레드 블랜드의 풍미, 맛, 주요 재배 지역에 관하여... 보르도의 역사 (The History of Bordeaux) 보르도는 원래 소테른(Sauternes)을 중심으로 한 달콤한 화이트와 로제와인이 중심이 되는 재배지역이었다. 이는 1800년대에 들어오면서 식사와 함께하기에 당도가 높은 와인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귀족들은 드라이한 와인을 추구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기점으로 보르도에서도 드라이한 레드와인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보르도 와인이 유명해진 계기는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영-프 100년 전쟁 (1337-1453년) 만국박람회 (1855년) 영국과 프랑스 간의 100년이 넘게 이어진 전쟁은 결국 보르도 공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zxYz/btrV1HDxfNl/UmhDZQkd783XMQkYck3OK1/img.png)
1-2만원대 와인 살 때 실패하지 않는 법! 국내 대형마트, 프렌차이즈 와인샵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와인을 기준으로 포도 품종별로 추천 1-2만원대 와인이란? 국내에서 와인을 1-2만원대로 구매하려면 유럽이나 미국등의 신세계 국가 현지에서 10유로 (또는 달러) 언저리의 가격대이거나 그 이하여야 한다. 그래야 국내로 수입하는 과정에서 운송료, 주류세등이 추가되면 1-2만원대 와인이 되는 것이다. 와인을 현지에서 마신다면 10유로 언저리 또는 그 이하로 충분히 맛있는 와인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1-2만원대 맛있는 와인을 찾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와인 양조와 유통 과정에서 불필요한 비용이 들지 않는 스타일의 와인을 고르면 좋을 것이다. 저렴하고 맛있는 와인이 되기 위한 조건 과실풍미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qiYF/btrV1GRSnLC/EUUK3wUZWhqMmKi9AalHqK/img.jpg)
Cinque Autoctoni Edizione 20 Fantini Farnese (2018) 친퀘 아우톡토니 에디찌오네 20 판티니 파르네스 (2018) [Specification] 지역 : Italy / Abruzzo VdT 품종 : 33% Montepulciano, 30% Primitivo, 25% Sangiovese, 7% Negroamaro and 5% Malvasia Nera 알콜 : 14.5% 양조 : Soft stalk-stripping. Maceration-fermentation for 25 days. Malolactic fermentation in barriques followed by 13 months maturation - 70% of the wine is aged in French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ncu0/btrVWfUhX5G/bRrvVeNwhpEEufgPWgXnr1/img.png)
포도 구성요소 • 씨&줄기 : 탄닌을 함유, 씨에는 쓴맛, 줄기사용시 손수확해야함 • 껍질 : 껍질에 풍미가 농축 / 탄닌과 색 • 과육 : 수분 & 당분 & 산 • 과분 : 껍질을 둘러싼 밀랍, 효모포함 산소 산소와 양조 - Anaerobic winemaking • 1차적인 과실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 • 이산화황 사용, 산소접촉 최소화 • 밤시간대 수확 (온도가 낮은 시간) • 포도가 낮은 온도를 유지 • 주스를 밀폐용기에 이산화탄소나 질소를 사용하여 보관 • 하지만 단조로울 수 있음 산소와 숙성 • 무산소 방식 -> 비활성 밀폐 탱크 사용 • 유산소 방식 -> 오크로 제작된 나무용기 사용. 산소가 작용해서 탄닌을 부드럽게 하고 풍미가 발달 • 산소접촉 -> 1차향 감소, 3차향 발달 / 와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KaNs/btrVG0wcrpW/gaXoH3Sg2Hfxe86KtnLDy1/img.png)
환경 : 경작지의 기온, 강우량, 토양 -> 포도품종, 재배방법 선택 사업성 : 기반시설, 인력, 기계접근성, 땅값 고려 포도품종 : 환경적 요인도 고려해야 하나, 법적 품종 규제도 고려 대상 포도나무는 30-50년 주기로 교체한다 Old vine : 높은 포도 풍미, 낮은 생산성, 높은 질병취약성 (수익과 품질사이에서 균형) 다시 심을때는 토양 회복을 위해 3년 이상 식재를 하지 않는다 주요 테크닉 : 트레이닝, 가지치기(Pruning), 격자구조물(Trellising), 식재밀도(Density of the planting) 포도나무 트레이닝 (Vine Training) 포도나무의 영구적인 나무 부분 모양 낮은 트레이닝 : 토양의 복사열을 활용 / 높은 트레이닝 : 서리 예방 정수리 트레이닝 (Hea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ZdaG/btrVOx2eVv0/iftmDpaagapucAqg3KaHE0/img.jpg)
Domaine Gilbert et Christine Felettig Bourgogne Pinot Noir 2017 도멘 길버트 에 크리스틴 펠레틱 브루고뉴 피노누아 2017 [Specification] 지역 : France / Bourgogne AOC 품종 : 100% Pinot noir 알콜 : 13% 내 점수 : 88 pts [Tasting note] "맛있는 Regional Bourgogne. 하지만 이 가격대엔 신대륙으로 가겠다" Regional Bourgogne는 항상 혹시? 라는 기대에 사면서, 역시라는 적당한 만족감을 얻는다. 차분하면서도 분명한 과실미에 여러 이불을 덮은 듯한 복합미까지 육각형 stat을 갖췄지만, 결국 뭐하나 뛰어난 부분은 없다. 이 가격대에 Sonoma나 Santa-Ba..